[스크랩] 색소폰 연습 이론
1. 앙부슈어(Emouchure)
1) 윗니를 마우스피스 1.5㎝ 전후에 고정시키고, 아랫입술을 살포시 리드에 댄다
2) 아래턱을 약간 뒤로 당기고 알파벳 m(엠)에 가까운 발음하는 모양을 만든다.
3) 목구멍은 하품하듯이 성대를 열어 준다.
2. 호흡(복식호흡)
1) 숨은 입으로 들어 마시되, 아래턱을 리드에서 살짝 뗀 상태로 들이 마신다
2) 아랫배나 허리가 불룩 튀어 나오도록 충분히 흡입하고(복식 호흡) 천천히 내쉰다.
3) 호흡이 남더라도 악보상 숨을 쉬어야 할 곳에서는 항상 숨을 쉰다. 숨을 쉬어야 할 곳을 악보에 표기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4) 흡입한 공기를 완전히 소진할 때까지 연주하지 말고 약간 호흡을 남겨 둔 상태에서 다시 숨을 들이 마신다.
3. 표현 (articulation)
1) 레가토 (Legato)
슬러(Slur)라고도 하며, 이어진 첫 음만 텅잉을 해주고, 호흡을 끝까지 유지 하며 운지를 한다.
2) 텅잉 (Tonguing = Non legato)
연주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기술로서, 음표의 길이보다 약간 모자라게 하고 각 음사이의 구분을 둔다(단 음과 음 사이가 끊어지지 않는다). 혀 끝보다 약간 안쪽 윗부분을 들썩이는 느낌으로 리드 부분에 살짝 닿았다 떼는 느낌으로 연주한다.
3) 롱 톤 (Long Tone)
롱톤이란 숨을 고르게 내쉬는 것입니다. 숨을 고르게 내쉬는 것은 관악기 연주에서 중요하면서도 기본이 되는 것이니 꾸준히 연습하셔야 합니다.
4) 스타카토 (Staccato)
음표의 머리 위나 아래에 점으로 표시되며, 각 음표 길이의 절반정도만 표현하여 짧게 끊어준다. 혀 끝부분 또는 약간 안쪽 등 부분으로 리드의 끝부분을 거의 막아서 공기를 막아 준다 (음과 음 사이가 끊어진다).
5) 폴타토 (Portato)
테누토(tenuto)라고도 하며, 각 음을 충분한 길이로 늘여 연주하면서 호흡을 유지하고 음마다 살짝 텅잉은 해준다. 음표의 머리 위나 아래에 짧은 선으로 표시된다.
6) 악센트(Accent)
어떤 음이 앞 뒤의 어떤 음보다 센음
7) 꾸밈음(장식음)
① 아래 꾸밈음
② 위 꾸밈음
③ 트릴(Trill)
떤 꾸밈음이라고도 한다. 악보에 씌어 진 음(으뜸음)과 그 2도 위의 음(도움음)의 빠른 연속적인 반복으로 이루어진다.
♠ 노멀톤(클래식톤)
클래식에서 쓰는 색소폰소리로써 특별히 음을 꾸미지 않고 마우스피스를 (패치의 3/1정도가 보이도록) 충분히 물고 폭이 고르고 일정한 비브라토로 연주하며 색소폰 특유의 따스하고 부드러운 소리를 깨끗하게 표현합니다. 특히 음을 너무 과장하는 오버톤은 금물입니다.
♠ 비브라토 (Vibrato)
바이브레이션은 비브라토와 같은 뜻으로 입술, 턱, 호흡 등을 적당히 사용하여 음의 피치를 움직여 더욱 기름지고 표현력 있게 내는 소리를 말합니다. 물론 클래식에서도 쓰이며 가요나 무드음악을 연주할 때는 클래식 톤보다 바이브레이션을 더 많이 사용하여 더욱 감성적인 음색을 구사합니다. 연주곡이나 연주자의 해석에 따라 바이브레이션의 속도를 처음부터 끝까지 고르게 낼 수도 있고 점점 빠르게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 벤딩(꺽기)
가요나 무드음악 연주시 텅잉을 할 때 리드에 혀를 강하게 치면서 호흡을 이용하여 순간적으로 음을 내렸다가 다시 올리며 소리를 냅니다. 곡 연주시 벤딩을 처음부터 끝까지 너무 자주 사용하면 오히려 표현이 식상해지기가 쉽습니다. 연습시 미리 생각하여 꼭 필요한 몇몇 곳에서 사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 서브톤 (Sub-Tone)
대개 "대니보이" 등 무드음악 연주시 많이 쓰이는데 "쓰스스..." 하며 바람 빠지듯한 소리를 내는 주법입니다. 마우스피스를 얕게 물고 입술에 약간 힘을 빼어 연주시 실제로 바람이 새면서 악기 소리와 바람 소리가 함께 들리게 하는 표현입니다. 전체 호흡의 1/3에서 1/2정도의 공기를 흘려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양의 호흡을 필요로 합니다. 음정이 불안한 것을 이용 또 다른 맛을 내기도 합니다. 칼톤과 달리 주로 저음에서 사용되며 다른 색소폰 보다는 주로 테너색소폰 연주시 많이 사용됩니다.
♠ 칼톤
칼톤에도 종류가 있습니다. 인위적으로 내는 칼톤과 색소폰 자체적으로 나는 메카닉 칼톤이 있습니다. 일반 칼톤은 목소리를 이용합니다. 악기에 바람을 불어넣으면서 목소리로 '으,으,으' 이런 식으로 목소리를 섞어서 톤을 거칠게 만드는 테크닉으로서 글로울링 톤이라고도 하며, 워렌힐의 음악에서 자주 들어볼 수 있습니다. 소리가 매끄럽다가 갑자기 컬컬한 소리가나면 칼톤입니다.
그리고 메카닉 칼톤은 악기자체 발생하는 칼톤 입니다. 플레절렛 구간에서만 나옵니다. 주로 3옥타브 F#과 G,A,B 부근에서 잘 됩니다. 메카닉 칼톤은 악기에따라, 또는 마우스피스에 따라, 연주자의 마우스피스 컨트롤 능력에 따라 나게 할 수도 있고, 안 나게 할 수도 있습니다. 주로 퓨전재즈쪽의 연주자들이 칼톤을 많이 사용합니다.
♠ 스랩 톤 (Slap-Tone)
리드에 혀를 완전히 밀착시킨 후 혀를 밑으로 떼어내면 떵떵 하는 소리가 납니다.
4. 스케일(Scale)
1) 메이져 스케일 (12 스케일)
2) 마이너 스케일 (12스케일)
3) 크로매틱(반음계) 스케일
4) 메이져 펜타토닉 : 1, 2, 3, 5, 6
5) 마이너 펜타토닉 : 1, 3b, 4, 5, 7b
6) 블루스 스케일 : 1, 3b, 4, 5b, 5, 7b
5. 코드 (Cord)
1) 메이져(Major) : 1, 3, 5 (1, 2, 3, 4, 5, 6, 7)
2) 세븐(7th) : 1, 3 5, 7b
3) 메이져 세븐(M7) : 1, 3, 5, 7
4) 마이너(minor) : 1, 3b 5 (1, 2, 3b, 4, 5, 6b, 7b)
5) 마이너 세븐(m7) : 1, 3b, 5, 7b
6) 마이너 메이져 세븐(mM7) ; 1, 3b, 5, 7
6. 도수와 음정